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
“엄마의 구멍을 찢고 바깥으로 나왔던 그 순간, 나는 이미 끝을 경험했다.” 여기 ‘이름조차 행방불명된’ 소녀가 있다. 아빠에게 백칠십두 번째로 맞고 엄마가 백삼십다섯 번째로 밥을 굶긴 어느 날, 소녀는 자기를 못살게 굴던 부모를 ‘가짜’로 만들어버린 후 집을 나온다. 소녀는 오직 ‘진짜’에 대한 물음 하나만 가지고 ‘지극히 못된 방식으로, 유혈낭자하게’, 자기가 찾는 것을 향해 후미진 세상 구석구석을 떠돌기 시작한다. 소녀의 걸음이 닿은 곳마다 불행은 즐비하다. 마치 음극이 양극을 끌어당기듯 불행한 소녀 옆을 스치는 사람들 역시 하나같이 ‘못나고 실패해서 가짜 취급 받는 생애’들이다. 소녀는 그들 안에서 행복을 찾기도 하고, 살아 있는 ‘평화’를 꿈꾸기도 하지만 매 순간 또 다른 사람이 추구하는 행복 때문에 자신의 소망에 균열이 일어난다. ‘누군가가 웃으려면 누군가는 반드시 울어야 한다’는 소녀의 깨달음은 피해자가 피해자를 가해하는 우리 사회의 잔혹한 모습을 역설하고 있다. 소녀가 세상의 고통들을 만날 때마다 혹은 누군가의 행복을 위해 자신의 행복에서 비껴서야 할 때마다 느끼는 감정 하나하나는 바로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그러나 애써 외면하는 슬픔, 박탈감, 외로움, 허무감이다.《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은 읽는 이로 하여금 묻어두었거나 외면해버린 상처들과 대면하도록 하는 강렬한 힘이 있다. 작가 자신이 치유의 과정으로 작품을 썼듯이 독자들에게도 그 에너지가 고스란히 전해져 조용한 위로가 될 것이다. 한겨레출판 제공